가끔 가슴이 갑갑할 때면, 사회 초년생 시절 처음으로 독립해 머물렀던
동네를 찾는다. 그리 길지 않은 시간이었다.
8개월, 살았다고 하기엔 짧지만 여행했다고 하기엔 충분히 긴 시간.
반짝이는 천이 흐르고 푸른 숲이 우거진,
아기자기한 카페가 즐비한 사랑스러운 동네.
그리고 그곳에 처음 온전히 내 힘으로 마련한 작은 원룸 하나.
퇴근 후 집에 들어설 때면 마치 다른 세계로 들어서는 듯한 착각마저 일었다.
안전하고 포근한 오직 나만을 위한 세계.
그래서인지 지금도 그 동네만 찾으면 가슴이 두근거린다.
그전까지만 해도 나는 내가 취향이 없거나 뚜렷하지 않은 사람이라 생각했다.
선호가 충돌할 때면 늘 손쉽게 물러서는 쪽이었고 학창시절부터 내 방에는
그 흔한 연예인 사진 한 장 없었다.
그랬던 내가 내 집이 생기자 입맛대로 꾸미는 재미에 푹 빠져들었다.
그간 한 번도 누려보지 못했던, 성적표도 합격증서도 없는 '취향 찾기'의 사치에
푹 빠진 꿈같은 시간이었다. 그러다 문득 '백문백답(百問百答)'을 떠올렸다.
어릴 적 다이어리가 한참 유행하던 시절에는 친구들과 서로의 백문백답을 교환하곤 했다.
친구의 취미와 특기가 가장 좋아하는 색깔과 음식이,
그땐 뭐가 그리도 궁금했을까. 그로부터 20년 가까이 지난 지금까지도
정작 나에 대해서도 잘 모르는데, 그땐 그랬다.
친구에 대해서도 나에 대해서도 궁금한 게 참 많았던 시절이었다.
'나'라는 정답을 찾기 위한 스무 가지의 질문. “어떤 작가를 좋아하나요?"
"어떤 노래를 좋아하나요?" "좋아하는 여행지는 어디인가요?"
"기분이 울적할 땐 주로 무엇을 하나요?"
"당신을 가장 행복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요?"
궁금함은 대개 애정으로부터 기인하고 여유 속에서 자란다.
애정이 없으면 궁금하지 않고 여유가 없으면 궁금할 수 없다.
애정이 사라진 연인 간에 가장 먼저 소실되는 것은 서로를 향한 질문이고,
바쁜 일상에서 가장 먼저 버려지는 것 또한 스스로에 대한 질문이 아니던가.
그러니 오늘, 소중하지만 미처 궁금해하지 못했던 대상이 있다면,
스스로에게 가족에게 연인과 친구들에게 '백문'까진 아니더라도
몇 가지 질문을 던져보는 것은 어떨까.
당신의 취향은 무엇입니까? 무엇이 당신을 웃게 합니까?
*김지영의 <행복해지려는 관성>에서 따온 글.
줄인 내용이 많습니다. 원문으로 확인해 주시고
개인SNS등에 그대로 옮겨가지 말아주세요~